(주) 비즈큐어
/
Press
Search
Press
2025년
Search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6일 서울 코엑스에서 '2025 과학기술창업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도전! K-스타트업 2025' 통합본선에 진출할 10개팀을 선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연구자리그'의 결선 무대로 공공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창업에 도전하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기술창업 특화 예선리그다.
올해로 3년 차를 맞이한 연구자리그는 그간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등을 배출하며 실험실 창업 분야 대표 경진대회로 자리매김해 왔다.
올해는 총 142개 팀이 지원하며 전년(82개 팀) 대비 경쟁률이 대폭 증가했다. 서면 및 온라인 평가를 거쳐 예비창업팀 10개, 창업팀 10개 등 총 20개 팀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최종 IR(기업설명활동) 발표평가를 통해 수상팀이 가려졌다.
수상팀에는 '도전! K-스타트업 2025' 통합본선 진출 자격과 함께 전문 자문단의 역량강화 컨설팅이 제공된다.
예비창업부문 최우수상은 'XMUT(엑스멋)'팀(대표 이병철)이 수상했다. 이 팀은 중심 정맥 삽관술 등에 활용 가능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 기술을 제안하여 심사위원단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당 기술은 영상 유도를 통해 시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혁신 아이템으로 주목받았다.
이병철 대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머물던 기술이 이번 수상을 계기로 사업화의 동력을 얻게 되어 의미가 크다"며 "결선 진출팀 모두가 수상해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치열한 경쟁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창업부문 최우수상은 '비즈큐어'(대표 이석주)가 수상했다. 이 팀은 가시광 경화 기술을 적용한 디스플레이용 점착제를 선보였으며 기존 자외선 경화 방식 대비 자외선 차단 및 접착력 조절이 가능한 기능적 차별성으로 높은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석주 대표는 "대학 실험실에서 땀으로 일군 제조 기술이 스타트업으로 이어졌다"며 "기술 기반 창업의 가치를 인정해준 과기 창업경진대회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도전! K-스타트업 2024' 장려상 수상자이자 AI 반도체 스타트업 '아티크론'의 정한울 대표가 기술창업과 시장 진입 과정에서의 실전 경험을 공유해 참가자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이은영 과기정통부 연구성과혁신관은 "이번 대회를 통해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우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 창업이 더욱 확산되길 바란다"며 "정부는 공공 연구성과의 민간 확산과 사업화를 위해 전주기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https://news.nate.com/view/20250808n09613
과기정통부, '도전! K-스타트업' 본선진출 10개팀 선발
진주 K-기업가정신재단은 10일 '진주 K-기업가정신 청년 포럼'에서 삼성, LG, GS, 효성 창업주 호(號)를 딴 '진주 K-기업가정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창업가 배출을 목표로 한 창업경진대회의 일환으로 4대 기업 창업주의 기업가정신을 지역 청년들에게 확산하는 데 중점을 뒀다.
시상식에는 4대 기업 임원, 중소기업 CEO, 예비 창업가, 청년 기업인, 대학생 등 450여 명이 참석했다. '진주 K-기업가정신상'은 호암 혁신상, 연암 개척상, 효주 창조상, 만우 도전상 등 네 부문으로, 혁신·개척·창조·도전의 가치를 담았다.
창업 부문에서는 아슬론(호암 혁신상), 비즈큐어(연암 개척상), 리보틱스(효주 창조상), 주식회사 꾼(만우 도전상)이 각각 수상해 상금 1000만 원을 받았다. 예비창업 부문에서는 Aristo, 케어스테이션, 좋은울림, ESG 패션테크가 각 부문 상을 수상해 500만 원의 상금을 받았다.
창업 부문 시상은 김종욱 진주 K-기업가정신재단 회장과 조규일 진주시장이, 예비창업 부문 시상은 이광근 한국창업보육협회 회장이 맡았다.
김종욱 회장은 "진주가 K-기업가정신을 배우고 창업에 도전하는 글로벌 창업 중심지로 성장하길 바란다"며 "재단은 제2, 제3의 글로벌기업 창업주가 진주에서 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번 창업경진대회는 진주 K-기업가정신재단, 경상국립대학교, 한국창업보육협회 등이 공동 주최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710000919
진주 K-기업가정신재단, '진주 K-기업가정신상' 시상…글로벌 창업의 요람
서울경제진흥원(SBA) 서울창업허브공덕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2025 서울 오픈이노베이션 런칭 데이'를 열었다. SBA는 '서울창업허브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대·중견기업과 스타트업간 기술실증(PoC), 투자유치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중 12개 대기업과 올해 협업하는 스타트업 각각 1곳이 PoC 계획을 공개했다.
금융권 출신인 서정아 대표는 '환전' 분야에 기술혁신 수요가 있을 걸로 보고 스위치원을 창업했다. 개인이나 영세 소기업도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혜택을 누리게 하고 환전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다. 스위치원은 올해 NH농협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에 선발됐다. NH농협과는 AI(인공지능)로 외환 리포트를 만들고 외환거래 알고리즘을 구축하는 등 B2B 외환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NH농협은행과 스위치원 외에도 △LG디스플레이-비즈큐어, △현대건설-새임, △신한금융그룹-메모리올, △DB그룹-지미션, △카카오모빌리티-디비디랩, △GS25 베트남-피치에이아이, △네이버클라우드-5그릿츠, △삼성물산-글로랑, △삼성금융네트웍스-뉴지스탁, △솔루엠-애즈위메이크, △호반그룹-아치서울이 각 기업별 협업 계획을 발표했다.
비즈큐어는 LG디스플레이와 함께 가시광 경화 기술을 적용한 차량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차단 투명 점착제의 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지미션은 DB그룹과 함께 반도체 공정 데이터 기반 sLM(경량언어모델)을 활용한 QRA(정량적 신뢰성 분석)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실증한다. 피치에이아이는 GS25 베트남과 함께 비전AI기술을 매장에 적용하는 리테일 미디어 런칭을 추진한다.
디비디랩은 카카오모빌리티와 협력, 사용자 리서치 기반 의사결정 관련 서비스를 개발한다. 메모리올은 신한금융그룹과 함께 고령 1인 가구의 생활안전 케어를 서비스하는 '데일리 안부'를 준비 중이다. 애즈위메이크는 솔루엠과 함께 전자식 가격표(ESL) 기술을 적용한 마트 상품가격 실시간 최적화 솔루션을 실증한다.
뉴지스탁은 삼성금융네트웍스와 자연어 기반 종목 AI 스크리너 서비스를 고도화, 투자자들이 더 쉽게 투자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아치서울은 호반그룹과 함께 리조트 및 F&B 분야 QR 주문·결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글로랑과 삼성물산은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에 개인 맞춤형 학습 공간을 두는 방안을 마련한다.
5그릿츠는 재고관리 솔루션의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네이버클라우드 인프라 및 AI 기술을 활용한다. 새임은 현대건설과 함께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보건 교육 솔루션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종우 서울경제진흥원 창업본부장은 "서울 오픈이노베이션 런칭 데이는 스타트업의 기술이 시장의 수요와 만나는 시작점이자, 실질적인 기술협력의 출발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news.nate.com/view/20250701n05881
창업 뛰어든 서학개미, 왜?…대기업 몰린 SBA 오픈이노베이션
서울대학교 학생 주도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스낵(SNAAC)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낵스텝(NAACst STEP)’ 7기 데모데이가 마무리됐다.
이번 데모데이에는 8주간의 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완수한 6개 참가사가 IR 피칭을 진행했다. 참가사는 11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기업들로,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개발 기업 비즈큐어, 웹소설 AI 번역 및 수출 기업 인피닉션, 이커머스 상품 페이지 AI 디자인툴 개발사 테르밋, 소형 화물 쉐어링 플랫폼 ‘셀프용달’ 운영사 어셈, 인플루언서 시딩 마케팅 AI 에이전트 개발사 오초크리에이트, 모바일 머니퓰레이터 개발 기업 로맨틱로보틱스 등이다.
심사에는 카카오벤처스,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 사제파트너스, DSC인베스트먼트, GS리테일 등 5개 벤처캐피털(VC)의 심사역이 참여했다.
심사 결과 인피닉션이 대상을, 비즈큐어가 최우수상을 각각 수상했다.
올해 일곱 번째를 맞은 낵스텝은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성장 지원 프로그램이다. 스낵은 8주 프로젝트 기간 동안 각 참여 기업에 ‘그로스 파트너’를 1:1로 배정하며, VC 및 법무·특허·세무·회계 법인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멘토링을 제공한다. 또한 스타트업 간 교류를 위한 네트워킹 행사를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조하은 스낵 대표는 “올해 스낵은 스타트업 업계 네트워크를 대폭 확장해, 각 구성원이 폭발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스타트업 허브로서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낵스텝 참가 기업뿐 아니라 더 많은 창업가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장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스낵은 서울대학교 재학생들이 주도하는 비영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로, 지분 투자 없이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낵스텝’, 서울대 출신 스타트업 관계자 네트워크 ‘스낵풀’, 창업가 강연 및 네트워킹 행사 ‘낵-타이’ 등을 운영하고 있다.
스낵을 거친 창업팀 중 설립 1년 만에 누적 투자 133억원을 달성한 ‘달파’와 총 8억원 시드 투자를 유치한 ‘더플레이토’ 등이 있다.
https://platum.kr/archives/261373
서울대 학생 주도 액셀러레이터 스낵, ‘낵스텝’ 7기 데모데이 성료
충남대학교와 대전 유성구가 대전시 핵심 전략산업인 A·B·C·D(Aerospace, Bio, Chip, Defense) 기반의 우수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스타트업 우수기술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충남대 창업지원단과 유성구는 5월 16일, 지역 유망 스타트업과 유관 기관 관계자 3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대전 팁스타운에서 ‘지역 스타트업 우수기술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대전시 핵심 전략산업(Aerospace, Bio, Chip, Defense) 기반의 우수 기술을 보유한 창업 7년 이내 스타트업들의 경쟁력과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기업 투자 유치 역량 조성을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에서는 1차 서류 평가를 통해 선발된 스타트업 10개 기업이 각자 보유한 대전시 핵심 전략산업 관련 우수 기술을 발표하며, 보유 기술의 우수성과 차별성을 겨뤘다.
그 결과 주식회사 더이엔(대표 김성탁), 루모스(대표 이태홍), 주식회사 스텔라비전(대표 이승철), ㈜넥스웨이브(대표 전진완), 주식회사 아이비스바이오(대표 김동석), 주식회사 성진에스이(대표 홍진표) 등 6개 스타트업이 우수기술상을, 인네이처 주식회사(대표 한세진), 주식회사 제타모빌리티(대표 이현석), 주식회사 비즈큐어(대표 이석주), ㈜ 리모빌리티 기업(대표 이재환) 등 4개 스타트업이 지역경제활성화상을 받았다.
이번 경진대회의 시상은 올해 연말에 예정된 충남대 창업보육센터 성과교류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충남대와 유성구는 이번 경진대회 선정 스타트업에게 후속 사업화와 투자 연계를 지원할 예정이다.
김천규 창업지원단장은 “이번 경진대회는 대전시 핵심 전략산업 기반의 지역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이번에 수상한 기업들이 맞춤형 창업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남대는 김정겸 총장 취임 이후 지역 혁신 창업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캠퍼스 특성화 기반 지산학연의 유기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지역 혁신 성장에 앞장서고 있다.
https://edu.donga.com/news/articleView.html?idxno=87982
충남대-유성구, ‘지역 스타트업 우수기술 경진대회’ 개최
[베리타스알파=박소현 기자] 서울대는 2025년 1월7일부터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인 'CES(세계가전전시회) 2025'에 2020년부터 올해까지 연속 다섯번째 참가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대는 베네시안 엑스포 내 스타트업 전관 유레카파크에 SNU 전시관을 구성하고 대학기술을 활용한 스타트업 15개사의 CES 2025 참가를 지원한다.
서울대는 우수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성과 창출과 대학 연구실 기술의 글로벌 파트너링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창업기업과 대학연구실을 지원한다.
이번 전시관 참여기업은 ▲투모로로보틱스(물류자동화 솔루션을 위한 AI 로봇 플랫폼) ▲마이스맥스(나만의 스마트 공간을 쉽게 꾸밀 수 있도록 하는 엣지 기반 AIoT 플랫폼) ▲모플랫(미래 자동차를 위한 차량용 통합 스마트 라이팅 솔루션) ▲인테그라반도체(세계 유일의 3D NAND 플래시 메모리 시뮬레이터 개발) ▲이노렘(뇌파 기반 비침습적 뇌압 측정계 장비) ▲프로바랩스(전임상 약물 효능 및 독성 평가를 위한 생체 모델 검증 멀티 모달 센서 시스템) ▲코팅솔루션포유(다양한 산업 분야 맞춤형 혁신적인 유체 진단 및 나노박막 코팅 기술 솔루션) ▲엑서체인(홈 헬스케어 디바이스 기반의 신체 데이터 예측 솔루션) ▲피매치(약물치료의 안전선을 보장하는 올인원 헬스케어 솔루션) ▲반프(지능형 타이어 기반 실시간 안전 및 연비개선 솔루션) 등이다.
이번에 전시되는 서울대 연수실의 우수기술은 ▲티로흐(미세 침을 활용한 방사선-나노 입자 항암 치료를 위한 토탈 솔루션) ▲바이오로보틱스(생체모사,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및 의수 연수) ▲비즈큐어(전기, 전자, 반도체, 광학관련 첨단 화학소재 설계 및 제조) ▲NEXT MI(시뮬레이션 기반 설계 및 제조 프로세스 수립) ▲RS Lab in Dept of Chemistry Education(식물이 느끼는 다양한 스트레스 신호를 실시간으로 읽는 기술) 등이다.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38620
서울대 'CES(세계가전전시회) 2025' 참가
2024년
Search
[대전=데일리한국 이영호 기자] 충남대학교(총장 김정겸) 창업지원단이 수요기업의 신성장동력 창출과 스타트업의 시장진입 가속화를 위해 ‘오픈이노베이션 밋업데이’를 개최했다.
충남대 창업지원단은 11일 인재개발원 마루빌에서 조광페인트와 지역 유망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오픈이노베이션 밋업데이’를 개최했다.
‘오픈이노베이션’은 기업이 연구, 개발, 상업화 등의 과정에서 외부의 기관이나 자원을 활용해 혁신을 이루는 전략으로써 이번 행사는 대·중견기업이 스타트업의 기술, 지식, 아이디어 등을 내부 자원과 결합해 기업 간 동반성장과 혁신의 방안을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오픈이노베이션 밋업에는 소재, 전기·전자, ESG 등 신사업 발굴에 나선 수요기업 조광페인트와 관련 역량을 보유한 △㈜비즈큐어 △팔라디바이오텍㈜ △엔스펙트라㈜ △디케이바이오㈜ △㈜STH 등 5개 지역 유망 스타트업이 별도 선정 과정을 통해 참여했다.
이번에 참여한 5개 스타트업과 조광페인트 신사업실은 PoC(Proof of Concept)를 위한 1:1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차별화된 기술 및 아이디어를 매칭하고 실질적인 협업 과제를 발굴했다.
창업지원단은 내년 1월 발표평가를 통해 오픈이노베이션 스타트업을 최종 선발할 예정이며 조광페인트와 함께 2025년 PoC 사업화 자금과 기술개발(R&D) 등 후속 연계 지원을 통한 스타트업의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비즈큐어 이석주 대표는 “스타트업이 대·중견기업을 직접 1:1로 만나 사업을 논의할 기회가 적은데 이런 기회를 얻을 수 있어 뜻깊었다”며 “이번 밋업을 바탕으로 우리 지역의 여러 스타트업이 대·중견기업과 상시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천규 창업지원단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스타트업이 규모와 지역 등 여러 한계를 넘어 대·중견기업과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앞으로도 기업 간 연구 성과와 협력 체계 강화로 지속 가능한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발전을 위해 스타트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8198
충남대, ‘오픈이노베이션 밋업데이’ 개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최근 'SNU 해동 스타트업 5기 데모데이'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서울대 공과대학 38동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 1년간 'SNU 해동 주니어 스타트업 프로그램'이 발굴·육성한 18개 우수 창업 기업이 총 1억 4,700만 원의 사업 지원금을 수여받고, 다양한 분야의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SNU 해동 주니어 스타트업 프로그램은 2019년 서울대 공대와 해동과학문화재단의 협약으로 시작된 창업 지원 사업이다. 창업을 준비하는 교수, 학생, 졸업생들에게 맞춤형 창업 보육 서비스와 운영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로 5년째를 맞은 이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총 317개 팀이 참여한 대형 기술 창업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 특히 이번 5기에는 100개에 달하는 창업팀이 참여해 기술 기반 창업 지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전문성이 더욱 강화됐다는 평가다. 1기부터 5기까지 우수 창업팀으로 선발된 90여 개 기업이 달성한 매출, 투자 유치 등 정량적 성과는 50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전체 참여 기업들의 성과까지 확대하면 약 1,000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예측된다.
김영오 서울대 공대 학장은 "우리는 유니콘 기업의 육성보다 창업 주역인 인재의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프로그램이 육성한 우수한 창업 인재들이 새로운 기술과 기업가 정신으로 미래를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재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은 "이번 기수에서는 많은 창업팀, 특히 대학원생들의 열정적 참여가 돋보였는데 이는 본 프로그램이 미래 기술 혁신의 산실로 자리잡았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하며 “수상 기업들이 이번 지원을 통해 창업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 단계 더 도약하는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길 소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대 공대는 ‘글로벌 산업과 사회의 지도자 육성’이라는 목표 아래 세계적 수준의 교육·연구 환경 조성과 데이터 기반 공학교육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에 기반한 SNU 해동 주니어 스타트업 프로그램은 기술 혁신과 창업 생태계 활성화, 청년 창업가 성장 지원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 SNU 해동 스타트업 제5기 수상기업 및 대표 명단 (총 18곳)
소프티오닉스(임성수), 압타마켓(정지원), 아이디어오션(김중호), 인블로그(임상원), 스트림뮤직(류지훈), 서진랩(홍수정), 메타파머스(이규화), 비즈큐어(이석주), 슬리피(서정화), 스핀토에이아이(한범), 마인드아너스(김현진), 멘토스페이스글로벌(이경아), 모이지(김주호), 도리보틀(조지연), 위시즈(유현모), 웨어포트(배영윤), 바이탈리티(유어진), Healthy Friends(이지수)
https://eng.snu.ac.kr/snu/bbs/BMSR00005/view.do?boardId=5429&menuNo=200152
서울대 공대-(재)해동과학문화재단, ‘SNU 해동 스타트업 5기 데모데이’ 성황리에 개최